도커는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로 묶어서 실행할 수 있는 오픈 소스 플랫폼으로, 개발과 배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도커 설치
첫번째로 해야할 일은 도커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리눅스에서는 아래에서 있는 명령어로 다운로드하면 도커 컨테이너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도커를 다운로드하는데 오류가 있으면 업데이트를 하면 됩니다.
sudo apt update
도커 환경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려면 'docker info'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는 도커 서버의 정보, 컨테이너 수, 이미지 수, 스토리지 드라이버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커 컨테이너를 동작 시키면 로그가 남는 공간이 'Docker Root Dir' 입니다.
지금 VM의 메모리 용량이 2GB로 설정이 되어 있으면 도커 컨테이너가 제대로 활동을 안 할 수 있어서 용량을 늘려주는 것을 추천합니다.
적어도 4GB 정도는 필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도커 이미지는 컨테이너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템플릿입니다. 도커 허브에서 공개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도커 허브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검색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search'라는 명령어는 'docker hub'라는 공간에서 이미지를 검색하는 것 하고 동일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원하는 이미지를 찾았다면, 해당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세요.
다운로드 이미지를 확인하는 명령어 입니다.
'보안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Formation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3.05.20 |
---|---|
도커 컨테이너 실행 및 정보 확인하는 방법 (0) | 2023.05.19 |
도커 레짓트리란 무엇일까?_03 (0) | 2023.05.17 |
도커 레지스트리란 무엇일까?_02 (0) | 2023.05.16 |
도커 레지스트리란 무엇일까?_01 (0) | 2023.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