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구조와 작동 원리는 컴퓨터 공학의 핵심 분야 중 하나입니다. 이를 이해하려면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요소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하드웨어는 물리적인 컴퓨터 구성 요소입니다. 이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입출력장치 등이 있습니다.
중앙처리장치 (Central Procdssin Unit, CPU)
컴퓨터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는 중앙처리장치 입니다. CPU는 컴퓨터의 두뇌 역할을 합니다. CPU는 산술논리연산장치, 제어장치 레지스터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산술논리연산장치(ALU)는 CPU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로, 수학적인 계산과 논리연산을 수행합니다.
제어장치는 CPU의 모든 작동을 제어합니다. 프로그램을 읽고 해석하여 다음 실행할 명령어를 결졍하고, 그 명령어가 수행되도록 ALU 및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 합니다.
레지스터는 CPU매부의 기억장로서 명령어를 저장하고 다음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보관합니다.
메모리(Memory)
컴퓨터에서 메모리는CPU가 사용하는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메모리는 주 기억장치와 보조 기억장치로 나뉩니다.
주 기억장치는 컴퓨터가 실행 중인 프로그램, 데이터, 명령어 등을저장하는 곳 입니다. CPU가 작동하는 동안 주 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쓰기도 합니다. 주 기억장치로는 RAM이 대표적입니다.
보조 기억장치는 하드디스크, CD-ROM, USB메모리 등이 있습니다. 보조 기억장치는 주 기억장치보다 용량이 크지만, 데이터 접근 속도가 느립니다.
입출력장치 (Input/Output)
입출력장치는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위해 필요한 부품입니다. 대표적인 입출력장치로는 마우스, 키보드, 모니터 등이 있습니다.
입력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합니다. 마우스, 키보드, 등은 입력장치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이들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CPU가 처리할 수 있도록 전달합니다.
출력장치는 컴퓨터가 처리한 정보를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합니다. 대표적인 출력장치로는 모니터, 프린터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CPU가 처리한 정보를 화면이나 종이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시스템 버스 (System Bus)
시스템 버스는 CPU,메모리, 입출력장치 등 각 구성요소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고속 데이터 전송 경로 입니다. 시스템 버스는 데이터 버스, 주소 버스, 제어 버스로 나뉩니다.
데이터 버스는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경로입니다. 데이터 버스는 CPU와 메모리, 입출력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합니다.
주소 버스는 데이터가 저장되거나 검색될 메모리의 위치를 지정하는 경로입니다. CPU가 데이터를 찾거나 저장하기 위해서는 주소 버스를 통해 해당 메모리의 위치를 지정해야합니다.
제어 버스는 데이터 전송 시의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경로입니다. 제어 버스는 CPU와 메모리, 입출력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담당합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이 상호작용하여 컴퓨터가 작동하게 됩니다. CPU가 명령어를 읽어 실행하고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읽어오거나 메모리에 저장합니다. 입출력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CPU가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하고 CPU가 처리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합니다.
컴퓨터 구조와 작동 원리는 매우 복잡하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이 함께 작동함으로써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작동하게 됩니다.
'보안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셈블리어 살짝 맛보기 (0) | 2023.04.14 |
---|---|
Shodan이란?? (0) | 2023.04.10 |
리눅스 프로세스의 메모리 구조 (0) | 2023.04.06 |
리눅스는 어디에 사용될까? (0) | 2023.04.05 |
LINUX란 무엇일까?? (0) | 2023.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