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는 컨테이너 기술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포 및 실행하는 데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도커를 이요하면, 서버 환경을 가상화하여 개발 환경을치시거나, 서버 환경을 쉽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도커를 사용할 때, 도커 이미지라는 것이 사용됩니다. 도커 이미지는 컨테이너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파일 시스템 및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커 레지스트리에 저장합니다.
도커 레지스트리는 도커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비스로, HTTP API를 제공하여 도커 이미지를 공유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서비스를 사용하면, 다른 사용자나 팀과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더 쉽게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
도커 레지스트리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대표적으로 Docker Hub, Google Container Refistry, Amazon Elastic Container Registry 등이 있습니다. 이렇나 서비스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으며, 또한 프라이빗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됩니다.
도커 레지스트리는 회사나 조직 내에서 자체적으로 구출할 수도 있습니다. 자체적으로 도커 레지스트리를 구축하면, 보안적인 이슈나 대용량 이미지 저장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보다 빠르게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2편에서는 도커 레지스트리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보안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 레짓트리란 무엇일까?_03 (0) | 2023.05.17 |
---|---|
도커 레지스트리란 무엇일까?_02 (0) | 2023.05.16 |
쿠버네티스가 왜 필요할까? (0) | 2023.05.15 |
모놀리식 vs 마이크로서비스 라이프 사이클 비교 (0) | 2023.05.12 |
모놀리식 아키텍처란? (0) | 2023.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