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config' 네트워크를 검색하면 브리지 환경으로 잡혀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docker network ls' 명령어는 현재 도커 호스트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목록을 표시합니다. 목록에는 각 네트워크의 ID, 이름, 드라이버, 스코프 등의 정보가 포함됩니다.
앞에서 생성할 때 네트워크에 대한 것을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앞에서 했던 것 처럼 이미지를 2개 만들어 보고 네트워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한 네트워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안으로 들어가서 확인해야할 것 같습니다.
기본적인 우분투환경이라서 툴을 설치가 되어있지 않습니다.
이렇게 툴이 설치가 되어 있으면 컨테이너 밖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커 네트워크에는 다양한 유형의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제공됩니다. 기본 네트워크 드라이버는 '브리지'입니다. 이 드라이버는 기본적으로 동작하며, 호스트와 독립적인 가상 브리지를 생성하여 컨테이너를 연결합니다.
'보안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 볼륨을 활용해서 웹 페이지 변경 (0) | 2023.06.12 |
---|---|
도커 컨테이너 네트워크에 대해서_02 (0) | 2023.06.05 |
도커 볼륨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0) | 2023.06.01 |
도커 볼륨 생성하기 (0) | 2023.05.31 |
도커 볼륨 컨테이너 간 데이터 관리의 핵심 (0) | 2023.05.25 |